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청년공공주택 주거복지로드맵 핵심요약
    제태크 및 경제정보/부동산소식 2018. 12. 22. 17:09
    반응형

    청년공공주택 주거복지로드맵 핵심요약

    N포세대 라고해서 포기하는 것들이 많아지는 젊은 층들이 늘고 있다고 합니다. 삼포라면 연애 ,결혼, 출산 여기에 집 등까지 가지고 싶지만 마음대로 안되는게 인생이라 없이 사는 삶을 살아야 하는 안타까운 단어입니다. 
    요즘 번듯한 직장 구하기도 힘이 드는데 직업이 있어도 치솟는 물가와 집값에 하루하루를 살아가는게 아니라 버텨가는 현실이 야속하기만 합니다. 이에따라 정부에서 청년층을 위해 퇴근 후 안정된 쉴곳이라도 마련해주자는 차원에서 주거복지로드맵을 제시했는데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집은 커녕 내 방 조차 없는 것을 알고 자라온 터라 쉴 수 있는 곳의 소중함을 바로 알고 있습니다. 지금부터 살피고자 하는 청년층 대상 주거복지 프로그램에는 다양한 혜택과 경로가 존재합니다. 자신의 경우를 살피어 해당되는 것들은 중복으로 신청도 가능하니 우선 알아보고 접수할 수 있어야 겠습니다.

    먼저 청년층이라면 만19세에서부터 만39세이하를 말하며 도심 내 교통이 편리한 곳을 중심으로 시세보다 저렴한 가격에 주택을 다양한 유형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같은 젊은이들이지만 4종류로 나뉘는데 먼저 일반, 대학생 신분, 취업준비생, 직업을 가진 사회초년생 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습니다.

    모두다 공통적으로 청년행복주택에 지원할 수 있고 대학생만 특별히 기숙사를 제공하고 있으니 기억해두는 것이 좋겠네요.

    단 취업준비생역시 학교졸업 후 2년이내라는 조건이 있으므로 기간이 초과하게 되면 일반으로 넘어간다는 사실 역시 기억해야겠죠.



    모두다 신청 가능한 행복주택을 살펴보면 시세 70%까지 (즉 30프로 할인을 제공해주는데) 본인 소득이 있을 경우 도시근로자의 80%이하여야 하는데 도시근로자 1인 평균금액을 보니 약250만원 정도합니다. 따라서 80프로면 약200만원이 나오네요. 그정도 소득이하가 되어야 신청이 가능하다는 사실 알아두시고 본인이 돈을 벌지 않는 학생일 경우 부모소득이 100%이하여야합니다.


    다음 매입전세임대 청년주택은 아르바이트를 하는 대학생이나 평균소득이하 취준생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시세대비 30%까지 금액으로 제공해주고 있으니 조건만 된다면 꼭 지원해보고 싶은 매력적인 정책입니다.

    공공지원 주택은 청년이라면 누구나 가능하며 쉐어하우스 형태로도 공급이 되고 최대 8년동안 거주가 가능하다고 하네요.



    대학생이라면 기숙사 신청이 가능한데 도서실, 게스트룸, 식당등이 공요설치된 셰어하우스 형태 또는 소호형 주거클러스터 , 산단형,  CCTV나 비생벨, 방범창등 안전특화시설을 갖춘 여성안심주택으로 제공되고 있습니다.

    월세가 21만원 미만이라고하니 수도권 지역에서 이만한 금액으로 방을 구하기 조차 어려운데 제공해준다고 하니 반드시 알아보아야 겠습니다.

    우선배정을 하고도  남은 비율이 높기 때문에 그렇게 어렵지 않게 들어갈 수 있고 주변 친구들 이야기를 들어보면 만족도가 굉장히 높았습니다.



    다음은  목돈 마련이 어려운 사회초년생 및 취업준비생들에게 전세자금을 빌려주고 월세까지 지원해주는 금융정책을 살펴보겠습니다.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은 올해까지 가입이 가능하고 우대금리를 통해서 높은 효율통장이라는 사실은 안비밀입니다.

    그리고 첫 집을 마련하는 젊은이들을 위한 디딤돌 서비스가 있는데 한도, 금리 등은 위 표와 같이 제한되 있으니 미리 알아봐야겠지요.

    이 밖에도 25세이하까지만 가능한 버팀목 전세지원이 있으며 주거안정을 위한 프로그램도 마련되어 있습니다.



    전용면적 60이하 오피스텔까지 포함된다고 하니 사회 첫발을 내딛는 사람들을 위해서 열심히 노력하고 있는 모습이 보입니다.

    자신의 상활별로 준비하고 신청할 수 있는 내용들이 다르기 내가 어디에 속하는지 먼저 파악해야합니다.

    도시근로자 평균 소득은 통계청 사이트에서 확인도 가능하고 내가 얼마를 버는지에 대한 것은 월급명세서를 통해 빠삭하게 잘 알고 있어야겠지요. 분위별로 주어지는 혜택도 다르기 때문에 내가 모르면 그 누가 알까요.

    공감 는 작성자에게 큰 힘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